Contents
▼
블로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했는데 '가져올수 없음'이라고 뜨는데요..라고
질문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내가 작성한 글을 검색엔진에 반영시키기 위한 첫 단계가 서치콘솔인데 여기서부터
막히면 힘이 빠지죠..
이번 글에서는 블로그스팟 구글 서치콘솔 등록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스팟 구글 서치콘솔 등록방법
블로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이유는 블로그를 처음 만들면 검색엔진에서 내
글을 늦게 가져가기 때문에 마치 전단지를 가지고 구글에 찾아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매번 글을 작성할때마다 이렇게 해야하나 싶기도 하지만, 이렇게해서
구글로부터 신뢰를 얻기 시작하는 그때부터는 서치콘솔에 접속하게 되는 빈도가
적어지게 됩니다.
어쨌든 구글 서치콘솔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이트맵과 RSS 2가지를
등록해야 합니다.
- 사이트맵 : 검색엔진에 블로그(웹사이트)의 구조를 알리는데 사용
- RSS : 검색엔진과 구독자에게 새 글에 대한 알림을 보내는데 사용
1) 사이트맵 등록하기
사이트맵(Sitemap)은 블로그의 구조와 콘텐츠를 검색엔진에 알려주는
파일입니다.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글을 검색엔진에 목록화해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Post(포스트) : 블로그 글, 공지사항 등 최신의 정보
- Page(페이지) : 블로그 소개, 연락처 등 고정적인 정보
티스토리와 달리 블로그스팟은 사이트맵이 2가지입니다. 둘다 모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 블로그스팟 도메인 사용하는 경우
1) https://[블로그스팟 주소].blogspot.com/sitemap.xml
2) https://[블로그스팟 주소].blogspot.com/sitemap_pages.xml
(올바른 예시) https://blogsodk.blogspot.com/sitemap.xml
(잘못된 예시) https://www.blogsodk.blogspot.com/sitemap_pages.xml
✅ 2차 도메인 구입한 경우
1) https://www.[블로그 주소].com/sitemap.xml
2) https://www.[블로그 주소].com/sitemap_pages.xml
(올바른 예시) https://www.blogsodk.com/sitemap.xml
(잘못된 예시) https://blogsodk.com/sitemap_pages.xml
2차 도메인(가비아 도메인)은 주소 앞에 www.을 붙여주셔야 합니다!
이걸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은데 올바른 예시와 잘못된 예시를 번갈아 잘 보시기 바랍니다.
⚠️ 자주하는 질문
Q. 2차 도메인(가비아 도메인)을 사용중인데 블로그스팟 주소도
등록해야하나요?
답변 : 2차 도메인만 등록하시면 됩니다. 둘 다 등록하면 안됩니다.
Q. 2차 도메인(가비아 도메인) 앞에 www를 붙여야 하나요?
답변 : 블로그스팟의 경우 도메인 앞에 www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렇게 사이트맵 2가지(포스트, 페이지)를 등록했다면 블로그 전체 글, 구조에
대해 검색엔진에 제출 완료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은 RSS를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RSS 등록하기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은 쉽게 말해서 내 글을 공유하기 위한 표준
형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생소할수 있는데 외국에서는 블로그를
구독해서 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무튼 사이트맵이 블로그의 구조라면, RSS는 새 글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도 중요합니다.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와 다른 주소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음 블로그스팟을 등록하는 분들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블로그스팟 도메인 사용하는 경우
https://[블로그스팟 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
(예시) https://blogsodk.blogspot.com/feeds/posts/default
(예시) https://blogsodk.blogspot.com/feeds/posts/default
✅ 2차 도메인 구입한 경우
https://www.[블로그 주소].com/feeds/posts/default
(예시) https://www.blogsodk.com/feeds/posts/default⚠️ 자주하는 질문
Q. RSS 주소를 추가했는데 여전히 '가져올 수 없음'이라고
나오는데요?
답변 : 올바르게 RSS주소를 추가해도 오류가 나는 이유는 글이 없기
때문입니다.
Q. 글을 작성했는데 그래도 '가져올 수 없음'이라고 나와요!
답변 : 블로그를 생성한지 1~2일차에는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일정도만 기다려주세요~
서치콘솔 등록 끝! 이제 글만 쓰면 되나?
이렇게 주소만 등록한다고해서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물론 이렇게 등록했기 때문에 내가 새로운 글을 작성했을때 서치콘솔 봇(Bot)이 돌아다니면서 새 글을 확인하긴 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글을 가져갈것이다라는 생각보다는 아직 구글이 내 블로그를 믿지못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새 글을 작성하고 수동으로 새 글 주소를 등록해줘야 합니다.
초반에는 새 글을 작성하고 이 작업을 하는 것이 좋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구글 봇(Bot)이 자주 방문하고 신뢰를 얻게되면 그때부터는 글만 작성해도 1~2일 후에 검색엔진에 글이 색인됩니다.
서치콘솔 수동색인 방법
- 서치콘솔 접속후 [URL검사] 클릭
- [새로 작성한 글의 주소를 붙여넣기] 한 후 엔터
- 메세지창 : Google 색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중
-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
- 오른쪽 상단의 [실제 URL 테스트] 클릭
- 메세지창 : 실제 URL 테스트 중(약 1~2분 소요)
- [색인 생성 요청] 클릭
중요한 것은 RSS,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과정과 수동으로 글을 색인하는 것으로 글의 노출을 보장받을수 있는것은 아니지만,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와 글을 가져갈수 있게하는 최소한의 노력정도로 이해하시는게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좋은 글을 잘 써야 검색엔진에서 자주 블로그에 방문해서 글을 가져간다는 점은 변함없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RSS, 사이트맵을 등록하고, 새 글을 수동으로 색인해도 글이 노출되지 않는다면 좋은 글이 아니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