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JMuAN02pVKE2uZHXG2JnZAHGfjon49GBXjko1rk
Bookmark

티스토리 2차도메인 +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티스토리와 연결된 2차도메인에 하위도메인을 만들어서 블로그스팟과 연결하려는 분들이 많은데요! 연결할때 가장 많이하는 실수와 연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의 계속되는 제재와 카카오 분사 등의 불안감으로 인해 블로그스팟을 알아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속도가 느린건 그렇다치고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 잦아지니 아무리 무료라도 고민될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시간을 들여서 글을 쌓고 있는 블로그가 하루아침에 사라진다면 정말 절망적일것 같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승인받은 티스토리 기반의 2차도메인에 블로그스팟을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연결

블로거 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메인 업체는 아마도 가비아와 호스팅케이알인걸로 아는데요!

번갈아가면서 영상에서 말씀드리고있는데 이번에는 둘다 보여드리면서 설명드릴께요

먼저 가비아입니다. 가비아는 아래 순서대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MY가비아 > DNS 관리툴 > 도메인 선택 후 DNS 설정

가비아 DNS 설정

그리고 호스팅케이알은 아래 순서대로 접속하세요!
대시보드 > 나의 도메인 > 도메인 선택 > 네임서버/DNS
호스팅케이알 DNS 설정

이렇게 접속하면 도메인의 DNS를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차 도메인이 티스토리에 제대로 연결되어있다면 아래와 같이 DNS 설정이 되어있을겁니다.
  • A레코드 : 이름(@) 값(27.0.236.139)
  • CNAME레코드 : 이름(www) 값(host.tistory.io)
자.. 이제 하위도메인에 블로그스팟을 연결해야하니 이 2개의 값을 지울까요? 그럼 절대 안됩니다!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연결 주의사항

2차 도메인이 티스토리에 연결된 상태에서 블로그스팟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은 현재 설정된 값을 모두 지우는 겁니다.

모두 지우고 그 상태에서 블로그스팟을 연결하면 당연히 티스토리 접속불가, 블로그스팟 접속불가입니다.

먼저 왜 지우면 안되는지 설명드릴께요!

앞서 2차 도메인과 티스토리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다고 말씀드렸는데요

A레코드와 CNAME레코드에 대해 아주 짧게 이해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A 레코드 : 이름(@) 값(27.0.236.139)
  • CNAME 레코드 : 이름(www) 값(host.tistory.io)
여기서 A레코드는 블로그업체 서버의 IP를 도메인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CNAME은 하위 도메인을 만들때 사용합니다.

더 쉽게 예를들어 KOREA.com 이라는 도메인을 구입해서 티스토리와 연결했다고 해보겠습니다.

현재 입력된 A레코드는 KOREA.com을 입력했을때 27.0.236.139와 연결해주는 역할입니다.

그리고 CNAME 레코드는 www.KOREA.com을 입력했을때 KOREA.com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입니다.

그래서 이 값을 지우고 블로그스팟을 연결하게 되면 티스토리 연결이 끊어지게 됩니다. 쉽죠?

그런데 왜 블로그스팟은 접속불가예요?

기존 티스토리와 연결된 DNS설정값을 지우면 티스토리 연결이 끊어진다는건 이해가 되실겁니다.

그런데 블로그스팟은 왜 접속이 안될까요? 정확한 표현은 (일시적인) 접속불가입니다.

블로그스팟은 티스토리만큼 속도가 빠르지않아서 바로 연결이 안됩니다.

저는 주로 밤에 작업을 하는데 연결해두고 자고 일어나면 연결이 되어있더라구요

그리고 .com .net 보다는 .co.kr .kr 같은 국내도메인이 좀더 빨리 연결되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블로그스팟과 연결하실거면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작업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연결

기존 티스토리 DNS을 왜 그대로 두고 하위도메인을 연결해야하는지 이해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티스토리 2차도메인의 하위도메인에 블로그스팟을 연결해보겠습니다.

블로그스팟 설정 페이지로 들어오셔서 맞춤도메인을 클릭하고 하위도메인을 입력합니다.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입력

하위도메인은 아까 blog. 를 만들기로 했으니 blog.KOREA.com 이라는 하위도메인이라 할께요!

맞춤도메인 오류메시지

그러면 빨간 오류메세지가 나오면서 CNAME 2개를 입력하라고 할겁니다.

가비아 또는 호스팅케이알 DNS 관리페이지에서 아래 CNAME 레코드 2개를 추가합니다.
  • CNAME 레코드 : 이름(blog), 값(ghs.google.com.)
  • CNAME 레코드 : 이름(구글이 제시한 값), 값(구글이 제시한 gv-xxxx.dv-googlehosted.com.)
위와같이 2개의 CNAME 레코드 이름과 값을 추가합니다. TTL은 크게 상관없는데 1800으로 입력해요

가비아는 + 레코드 추가 버튼을 누르고, 호스팅케이알은 +새 레코드 추가를 눌러서 추가합니다.

참고로 가비아는 레코드=타입, 이름=호스트 라고 표시되어 있으니 그 자리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비아는 도메인 주소 뒤에 점(.)을 찍어야 저장됩니다.

호스팅케이알 맞춤도메인 CNAME 레코드 추가

호스팅케이알은 레코드=유형, 이름=호스트 이름이라고 표시되어 있네요.

CNAME 2개를 입력하고 블로그스팟의 설정 > 맞춤 도메인으로 와서 하위도메인을 한번더 클릭합니다.

맞춤도메인 하위도메인 연결 완료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다면 오류메세지가 사라지면서 맞춤도메인에 하위도메인이 입력됩니다. 

여기서 여유를 가지셔야 하는데 약 30초~1분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저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가비아, 호스팅케이알에 CNAME 레코드를 입력했다고 즉시 연결되진 않아요..

이런 부분은 조금 아쉽지만, 한번 연결되면 티스토리처럼 서버가 폭파(?)된다거나 

느려지는 일은 없으니 처음에만 조금 느리다는것 잘 기억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본문 음성듣기
음성선택
1x
* [주의] 설정을 변경하면 글을 처음부터 읽습니다.
댓글 쓰기
테마 디자인을 위해 댓글 영역이 표시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유튜브 채널 영상에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